여드름은 털을 만드는 모낭에 붙어 있는 피지선에 생긴 염증성 피부질환으로 얼굴에 주로 생기며, 목, 등, 가슴과 같은 피지선이 발달한 곳이면 어디든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춘기의 가벼운 여드름은 일시적인 현상으로 간주되기도 하지만 증세가 심한 경우 영구적인 패인 여드름 흉터 등을 남길 수 있으므로 적절한 조기 치료가 중요합니다.
여드름의 원인
여드름이 생기는 원인은 연령, 환경 등에 따라 무척이나 다양 하며, 이미 생기는 여드름이 악화되는 원인도 개개인의 생활습관, 약물, 스트레스 등에 따라 다양합니다.
1. 피지선의 과다한 활동(Sebaceous gland hyperactivity)
피지의 생산과 배출사이의 불균형으로 모낭 내에서 피지가 막혀서 염증을 발생시킨다.
그럼 피지선을 이렇게 조절하는 물질은 뭘까요? 바로 ‘호르몬’이라는 물질입니다. 호르몬은 성인이 되어가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피지선의 활동에 영향을 줍니다. 여성의 경우 배란이 피지선의 활동을 가속화되도록 자극합니다.
2. 모낭 각질화 (Changes in Follicular Keratinization)
우리 몸의 정상 피부는 매순간 순간 생성되고 바깥층부터 순서대로 탈락해 나갑니다. 각질세포가 성장하여 모낭내로 박리되면 ‘코메도’가 형성되기 시작합니다. 여드름환자들의 경우 이러한 각질세포는 서로 붙게 되고, 덩어리로 뭉친 각질세포는 모공을 막게 됩니다.
만약, 이 모공이 열려있다면, 블랙헤드를 만들고 (black head, open comedo), 만약 닫혀있다면 백두를 만듭니다 (white head, closed comedo).
3. 박테리아의 영향 (The influence of Bacteria)
막힌 모공은 박테리아에 풍부한 영양을 공급합니다. 그래서 박테리아성 여드름은 막힌 모공에서 발생한답니다. 우리 몸의 면역체계는 박테리아의 존재를 인식하여 면역반응을 가동시키고, 이것이 붉어짐, 고름, 염증, 전형적인 여드름을 만듭니다.
4. 기타 유발 및 악화요인
체질적 요인이나 과로 및 스트레스로 인해 부신피질 호르몬이 증가하여 피지선이 자극되어 여드름이 생기기도 하고, 화장품이 모공을 막아서 생기기도 하며, 호르몬이 주성분인 피임 약을 포함한 각종 약, 여드름 짜기, 임신등도 대표적인 유발요인이 된다.
병변의 형태
여드름 병변은 크게 비염증성 병변, 염증성 병변, 여드름 흉터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비염증성 병변
면포에는 입구가 열려 있는 개방 면포와 입구가 닫혀 있는 폐쇄 면포의 두 가지 형태가 있습니다. 개방 면포는 색소의 침착으로 검은 색깔인 반면에, 폐쇄 면포는 흰 색깔을 띱니다.
2. 염증성 병변
면포가 오래되면 주위에 염증이 생깁니다. 여드름에 염증이 생기면 처음에는 붉은 기가 돌고, 시간이 흐르면서 갈색으로 변하게 됩니다. 염증의 정도에 따라 붉은 여드름(구진성), 곪는 여드름(화농성), 결절, 낭종 등이 형성됩니다. 이 중 어느 한 형태가 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여러 형태의 발진이 섞여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3. 여드름 흉터
여드름을 방치해서 염증이 심해지거나, 잘못 짜서 피지가 피부 안쪽으로 터지게 되면 피부가 울퉁불퉁하게 튀어나옵니다. 또한 패인 흉터(볼록 흉터, 오목 흉터)가 생기게 됩니다. 여드름 흉터는 다른 흉터에 비해 흉터 가장자리가 매우 날카롭습니다. 그리고 깊이 패여 있습니다. 실제로 수술을 해보면 흉터 바닥이 지방층까지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만큼 피부손상이 광범위하며 흉터끼리 서로 연결되어 있는 예가 흔합니다.